본문 바로가기
책 추천

아홉살 인생 :: 소설, 개그야의 한 코너, 느낀점

by Big Think 2023. 8. 8.
반응형

Image 0 Image 1 Image 2

 소설 소개

 이 소설은 위기철 작가의 장편소설입니다. 주인공인 백여민의 시선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백여민은 다른 아이들보다 조금 어른스러운 성격을 가진 아이로, 이 소설은 그의 시점에서 인간 군상과 사회적 부조리, 그리고 1년 동안의 성장을 그려낸 내용입니다.

 내용

 이 소설은 70년대 후반 서울 변두리 산동네 판자촌을 배경으로 하며, 9살 남자아이인 백여민의 시선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이곳에서 여민이는 인간 군상과 사회적인 부조리를 직시하며 자신의 성장을 경험하게 됩니다.

 주요 등장인물

     
  1.     백여민 - "노란 네모"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주인공입니다. 화가나면 감정을 크게 드러내며 싸움을 잘하는 반면,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나긋나긋한 감정도 지닙니다.   
  2.  
  3.     여민의 아버지 - 지대한, 예전에는 깡패로 활동했으나 정권을 잡은 군인들에게 잡혀간 경험이 있습니다. 가난하지만 부지런하며 따뜻한 마음을 지녔습니다.   
  4.  
  5.     여민의 어머니 - 정선경, 전쟁 과부의 딸로 태어났으며, 남편이 고향 부산에서 고용주에게 속아 임금체불을 당한 후 화학물질로 인해 한쪽 눈을 잃는 사건을 겪었습니다.   
  6.  
  7.     백여운 - 여민의 여동생으로, 이하림이 배역을 맡습니다.   
  8.  
  9.     신기종 - 백여민의 가장 친한 친구로, 겉으로는 거칠지만 착한 아이입니다. 혼자 망상에 빠져놀며 생활하는 모습을 보이며 여민과의 관계가 중요한 캐릭터입니다.   
  10.  
  11.     신기순 - 신기종의 누나로, 부모님과 함께 공장 노동을 하며 살아가는 인물입니다. 여민이네 아버지와 결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여러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12.  
  13.     검은제비 - 산동네 아이들의 골목대장으로, 강한 외모와 내면의 약한 모습을 지니고 있습니다. 복잡한 가정환경과 자아실현의 고민을 겪습니다.   
  14.  
  15.     풍뎅이 영감 - 산동네 판잣집 건물주로, 사람들을 괴롭히며 돈을 거머쥐는 인물입니다. 이후 사건을 통해 변화를 보이게 됩니다.   
  16.  
  17.     다른 등장인물 - 이 소설에는 여러 다른 인물들이 등장하며, 그들의 관계와 이야기를 통해 여민의 성장과 주변 환경이 그려집니다.   

 이런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소설은 현실적인 상황과 감정을 다루며, 주인공 백여민의 성장과 모든 인물들의 인간미를 그려냅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캐릭터와 미디어믹스

 1. 백여민과 여민의 담임선생님

 여민의 담임선생님은 학생들에게 관심이 없고 차별적인 태도를 보이며 교육에 열정이 없는 인물입니다. 여민은 그녀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가지게 되며, 그의 짝사랑 대상이었던 피아노 선생님 윤희에게 보여주기 위해 여민을 구타하는 등 찌질한 행동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교장선생님의 눈에 들통난 것으로 보이며, 그의 악행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지기와 사건

 산지기는 여민이 사는 산동네 주변의 숲을 관리하는 사람으로 등장합니다. 그는 여민을 범인으로 몰아 괴롭히고 성추행까지 하게 되는데, 최후반부에서 여민을 발견하고 이와 관련한 사건이 전개됩니다. 이 사건은 여민의 어려움과 괴로움을 강조하며 이야기의 긴장감을 더해줍니다.

 3. 미디어믹스와 만화

 이 작품은 만화로도 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희재 작가가 1993년에 소년중앙에서 연재한 후, 2000년에 단행본으로 출간되었고, 2004년에는 영화판도 개봉되었습니다. 만화판은 원작 소설보다 사회적 비판적인 요소를 강조하며, 사회적인 문제를 더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로써 원작보다 더 높게 평가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소설은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감상할 수 있으며, 각각의 매체에서 더욱 다채로운 이야기와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1.3.2. 영화

 2004년 영화 **"1"**은 원작을 기반으로 제작된 작품입니다. 배급은 플레너스가 시네마서비스 명의로 하였으며, 황기성사단이 제작했습니다. 감독은 마요네즈, 더 게임의 윤인호이고, 각본은 이만희가 맡았습니다. 음악은 가수 겸 피아니스트인 노영심이 작곡을 맡았습니다. 이 영화는 제12회 춘사국제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으로, 전국 관객 35만 2천명을 동원하여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평가는 여전히 좋아서 추억의 영화로 자주 TV에서 재방송됩니다.

 주연 배우로는 김석과 이세영이 출연하였으며, 영어 제목은 "When I Turned Nine"입니다. 영화에서는 제목과 등장 인물을 제외하고도 원작과는 다른 면을 재창조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원작의 배경이었던 서울 변두리의 달동네 대신에, 영화는 경상도의 산골을 배경으로 합니다. 등장 인물들 역시 이름만 공유하고, 개성있는 다른 캐릭터로 재해석되었습니다.

 주인공인 백여민은 원작보다 더 성숙하게 그려져 있으며, 신기종과 오금복 캐릭터도 더 깊고 친밀한 관계로 변화합니다. 또한 골방철학자 역시 덜 막장적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다만 담임인 월급기계와 장우림의 경우, 원작과 비슷하게 나타난 대신, 조연으로 출연하던 우림이가 주연급 역할로 높아진 것이 특징입니다.

 이 영화는 어린 시절의 순수한 사랑 이야기와 '그때 그 시절'을 다루며, 좋은 평가를 받은 반면, 원작과의 큰 차이점으로 인한 비판도 존재합니다. 원작은 어린이의 시각을 통해 당시 현실을 풍자하고 애환을 다루었지만, 영화는 어린 시절의 첫사랑을 중심으로 한 추억을 다루고 있습니다.

 촬영은 서울 홍제동 개미마을 및 중계본동, 전남 여수시 구 옥천초등학교(1999년 폐교) 교사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이 영화는 원로 배우 최성(1928~2009)의 마지막 출연 작품으로,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였던 김성대도 출연한 바 있으나 그는 이 사실을 조금 쑥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2. 개그야의 한 코너

 해당 코너의 이름인 **'개그야의 한 코너'**는 1번 항목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선생님인 김봉두 선생님과 같이 강원도 산골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가져온 이름입니다. 이 코너에서는 함효주가 할머니 역을 맡아 훌륭한 연기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당시 SM 엔터테인먼트가 개그 분야에도 큰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이삭&지연으로 활동하던 가수 이삭이 전업하여 고정 멤버로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뻥치지 마~! 그런 게 어딨어~"라는 유행어까지 남긴 코너로서, 그 당시의 특별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아홉살 인생에 대한 느낀점

 아홉살 시절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교훈과 인상을 받을 수 있는데요.

 어린 날의 추억과 감성

 소설과 영화로 그려진 아홉살 시절은 어린 시절의 추억과 감성을 자극합니다. 어린이들이 마주하는 첫사랑과 순수한 우정의 모습은 따뜻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그 시절의 순박한 마음가짐을 재조명합니다.

 변화와 성장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겪는 변화와 성장은 인생의 중요한 측면을 담아냅니다. 주인공들의 모험과 고민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성장하는 과정이 공감을 자아내며, 우리 자신의 성장과 변화도 떠올리게 합니다.

 우정과 가족

 아홉살 시절은 우정과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주변 사람들과 함께 겪는 경험을 통해 현실적인 우정의 가치와 가족의 영향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작품을 통해 우리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과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추억의 세월

 아홉살 시절의 이야기는 추억의 세월을 떠올리게 합니다. 작품을 통해 묻혀있던 과거의 기억들이 깨어나며, 그 시절의 감정과 경험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인생의 보물 같은 순간들을 떠올리게 만들어 줍니다.

 결론적으로

 작품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아홉살 인생은 순수하고 소중한 순간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어린 시절의 감성과 성장, 그리고 우정과 가족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우리 인생의 소중한 단면들을 잊지 않게 됩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