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전쟁은 국가의 의지를 상대 국가에게 강요하기 위한 폭력적인 행위로, 다른 정치 수단을 포함한 연속적인 과정입니다. 이와 관련된 주제 중 하나는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입니다. 이 책은 나폴레옹 전쟁을 겪은 프로이센의 장군이자 군사학자인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가 쓴 책입니다. 그러나 클라우제비츠는 이 책을 완성하지 못한 채 콜레라에 걸려 사망하였으며, 사후에 그의 아내 마리 폰 클라우제비츠와 처남 프리드리히 폰 브륄, 그리고 부하였던 프란츠 아우구스트 오에첼 소령이 클라우제비츠의 노트와 메모를 기반으로 보완하여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나폴레옹의 전법을 일반화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무게중심'의 개념이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개념은 전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적의 중심을 공략하여 승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와 함께 앙투안 앙리 조미니의 '결정적 지점' 개념도 중요하게 다뤄졌습니다. 이는 전투에서 적의 결집 또는 지형 우세보다는 결정적인 지점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철학적인 방법론을 통해 설명하는데, 전투를 인간들의 '단체 결투'로 정의하며 '정치적 목적', '폭력', 그리고 '우연성'을 전쟁의 핵심 요소로 소개합니다. 이 때문에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당시 군사 전문가들이나 일반인에게 모두 어려운 내용으로 여겨졌습니다.
헬무트 폰 몰트케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받아들이면서 이론은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나중에는 독일과 소련이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리체계를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전쟁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다루는 클라우제비츠의 방식은 이해하기 어려웠고, 다른 해석과 혼선이 있었습니다.
이 작품은 클라우제비츠가 큰 노력과 철학적 고찰을 담아 집필한 책으로, 그의 사후 원고를 정리한 아내 마리 폰 클라우제비츠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클라우제비츠의 사상 변화로 인해 몇몇 부분이 다시 작성되지 않았고, 전쟁의 정의에 대한 생각의 변화로 인해 일부 내용이 혼동스럽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읽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원저자인 클라우제비츠 자신도 "단 몇 년 안에 읽혀지고 잊혀질 책을 쓰는 것은 제 자존심이 허용하지 않는다"라며 어려움을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생각과 이론은 오늘날까지 전쟁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내용
전쟁론의 구성과 내용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총 3권과 8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25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권은 1편 "전쟁의 본질", 2편 "전쟁의 이론", 3편 "전략 일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1832년에 최초의 판이 출간되었습니다. 2권은 5편 "전투력", 6편 "방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1833년에 초판이 출간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3권은 7편 "공격", 8편 "전쟁계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834년에 최초의 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전쟁의 목적과 본질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상대 국가에게 자국의 의지를 강요하기 위한 폭력적인 행위로 정의하였습니다. "전쟁은 따라서 상대방이 우리의 의지를 실현하기 위해 굴복하도록 강제하는 폭력의 행위입니다." (Der Krieg ist also ein Akt der Gewalt, um den Gegner zur Erfüllung unseres Willens zu zwingen.)라고 클라우제비츠는 말했습니다.
전쟁과 정치의 연관성
1편 1장에서는 전쟁의 본질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을 다른 수단의 개입으로 정치적인 교섭을 계속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전쟁은 결국 다른 수단으로 계속되는 정치적 교류의 한 형태에 불과합니다." (der Krieg ist nichts als eine Fortsetzung des politischen Verkehrs mit Enmischung anderer Mittel.)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정치적인 수단으로서의 전쟁
8편 6장에서는 전쟁이 정치적인 수단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은 정치의 수단으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der Krieg ist ein Mittel der Politik, um politische Ziele zu erreichen.)
이처럼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전쟁의 목적과 본질, 그리고 전쟁과 정치의 연관성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은 오늘날까지 전쟁과 국제정치의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 영향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다양한 나라와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러시아의 적극적인 수용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프로이센(독일의 전신)을 제외하고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진 나라는 러시아였습니다. 이 정도까지라면 러시아에서는 이론이 상당한 주목을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2차 세계 대전 때 독일 국방군이 러시아 도서관을 조사한 결과, 거의 모든 도서관에서 최소한 1권 이상의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이 발견되었다는 일화까지 있습니다. 블라디미르 레닌조차 이 책을 수차례 반복해 읽어 세계적인 화해를 위해 읽을 것을 권했을 정도로, 이 이론의 중요성은 소련 내에서도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련의 젊은 장교들은 전쟁론을 토론하며 붉은 군대를 더욱 전술적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제2차 세계대전 초기 동부 전선에서의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며 더욱 성장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국제 금융계와의 연계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금융계에서도 주목받은 적이 있습니다. 1980년대 월스트리트의 금융계에서는 이 책이 유행하기도 했으며, 2000년대 후반의 금융 위기 시기에도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이론에서 강조하는 '우연성' 개념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대안으로 여겨졌습니다.
다만 '우연성'이라는 개념을 '불확실성'이나 '무작위성'의 의미로 해석하기보다, 군의 영역에서의 기술적 역량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클라우제비츠는 이성을 전투 여부와 목적을 결정하는 정치적 의사결정과 국민 대중의 영역, 폭력을 전투의 원동력으로 만드는 군의 영역으로 구분했습니다. 이 맥락에서 '우연성'은 객관적인 전력의 우열을 뒤집어 뜻밖의 결과를 가져오는 군 지휘관의 전문적 역량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영화화와 예술적 영향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예술 분야에서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프랑스 감독 베르트랑 보넬로가 이 책을 영화화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일반적인 내용과 구성이 아닌 실험적인 스타일의 작품으로, 원작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오쩌둥도 이 책을 여러 번 읽고 중국의 전통 병법과 결합하여 독자적인 전술 이론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중국의 군사 전략에도 이론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처럼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그 가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4. 번역본
번역된 버전의 적합성과 신뢰성
한국에는 지금까지 여러 번의 번역판이 나왔습니다만, 90년대 이전의 번역판들은 불쏘시개 수준으로 평가되며 권장되지 않습니다. 특히 일본어나 영어 중역, 두 가지 언어의 혼합인 번역은 전문적인 내용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중역들은 대학원생들이 Ctrl+C,V를 이용해 작업한 결과물로, 전문적인 전쟁론의 의미를 전달하지 못할 정도로 수준이 낮습니다.
또한 1970년대 출판된 일부 정치학자의 번역판도 마찬가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들의 번역은 원래 내용도 어렵기 때문에 번역 품질의 저조함으로 인해 이해하기 힘들어집니다. 번역자의 독일어 실력이 문제보다는 오히려 국어 실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 번역자가 아닌 사람들이 번역하는 서적에서 이러한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이는 해당 분야의 전문 지식은 있으나, 국어 실력이 부족하여 표현이 어색하거나 오역하는 경우입니다. 번역 작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국어 실력입니다.
신뢰성과 변화된 번역
또한 오래된 책이기 때문에 영어 번역판 또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번역이 존재합니다. 한국 대학 도서관에 있는 영어 번역판은 대부분 19세기에 번역된 것이라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구글에서 구할 수 있는 PDF 영어판들 역시 대부분 1900년 이전의 버전입니다.
이러한 번역본들은 기존의 한국어 판만큼 신뢰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70년대 이전의 영어 번역은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70년대부터 수정작업이 이뤄져 90년대까지 다양한 개정판이 나왔습니다. 최근의 현대 영역판은 1976년에 피터 파렛(Peter Paret)과 마이클 하워드(Michael Eliot Howard)가 공동 번역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한국어 번역판의 진부한 품질
2005년에 처음으로 한국어로 완역된 버전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버전은 번역가 김만수 씨의 노력으로 국어교육과 전공을 겸비한 전문가의 번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대 영역판에서는 1830년대 초판과 1840년 추가 발행판, 그리고 현대 독어판과 영어판을 모두 참고하여 번역되었으며, 해설과 주석 역시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습니다.
2016년에는 전자책 형식으로도 이 완역본이 출간되었습니다. 본문이 매우 분량이 크기 때문에 가볍게 전자책으로 소장하고자 하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번역본은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각각의 품질과 신뢰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의 완전한 번역본을 찾아보시거나 국어 실력을 향상시켜 직접 영어판을 비교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전쟁론에 대한 느낀점
전쟁론에 대해 알아보면서 여러 번역본의 품질과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그 중요성과 학문적 가치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지만,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학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번역본의 선택이 필수적입니다.
90년대 이전의 번역들은 불쏘시개 수준으로 평가되어 읽기 어려운 수준이었으며, 이는 전문적인 내용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특히 중역의 경우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이 번역한 결과로, 전문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번역자의 국어 실력은 번역 작업의 핵심이었습니다.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더라도 적절한 표현과 의역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국어 실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오래된 책이기 때문에 영어 번역본 또한 시대에 따라 다양한 번역이 존재하며, 특히 70년대 이전의 영어 번역은 신뢰도가 낮았습니다. 최근에는 수정작업을 통해 번역된 현대 영역판이 존재하며, 이를 선택하여 전문적인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한국어로 학습하려는 분들께서는 최근에 출간된 완전한 번역본을 찾아보시거나, 국어 실력을 향상시켜서 영어판을 비교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의미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책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 개요, 줄거리, 발매 현황, 특징, 등장인물, 패러디, 기타, 느낀점 (0) | 2023.08.09 |
---|---|
정의란 무엇인가 :: 개요, 내용, 번역, 하버드 특강 『정의』 동영상, 여담, 느낀점 (0) | 2023.08.09 |
자유론 :: 개요, 내용, 읽을 만한 글귀, 여담, 느낀점 (0) | 2023.08.09 |
이중나선 :: 이중으로 된 나선, 제임스 왓슨의 저서, xi의 곡, 느낀점 (0) | 2023.08.09 |
이기적 유전자 :: 개요, 상세, 내용, 판본, 기타 사항, 느낀점 (0)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