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추천

살인자의 기억법 :: 개요, 줄거리, 영화화, 느낀점

by Big Think 2023. 8. 5.
반응형

Image 0 Image 1 Image 2

개요

김영하의 장편 소설인 "알츠하이머"는 문학동네에서 2013년 7월 25일에 출간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노년기에 알츠하이머에 걸린 나이 든 살인자가 자신의 딸을 지키기 위해 마지막 살인을 준비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 소설은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영상으로도 만들어진 이 작품은 못의 이이언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 영상 제작에는 "1700대의 컴퓨터와 제 수명 7개월 정도가 사용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김영하 작가 본인이 직접 나레이션을 담당하여 목소리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였습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2. 줄거리

"알츠하이머"는 30년 동안 꾸준히 살인을 저지른 연쇄살인범 김병수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25년 전에 은퇴한 그는 이제 70세이며 알츠하이머로 말미암아 기억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딸을 지키기 위해 마지막 살인을 계획하게 됩니다.

김병수는 고독한 마지막 싸움을 벌이며 세계가 무너져내리는 공포를 체험하고 기록합니다. 잔잔한 일상에 파격적이고 도발적인 요소들을 불어넣으며 딸을 구하기 위해 모든 것을 걸고 싸우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이를 통해 삶과 죽음, 시간과 악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시합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2.1. 결말 (스포일러 포함)

경찰에게 딸인 은희가 몇 일째 돌아오지 않는 것을 알린 병수는 경찰을 만납니다. 그리고 의외로 박주태라는 경찰이 실제 살인범이 아닌 것을 깨닫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은희는 살해당한 상태이며, 결국 병수는 은희를 죽인 살인범으로 지목되게 됩니다. 더군다나 은희는 그의 딸이 아닌 치매 노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였습니다.

병수는 경찰에 의해 조사를 받고, 집에 돌아왔을 때는 마을사람들로부터 돌을 맞기도 합니다. 알츠하이머로 인해 그의 정신은 점차 무너지며, 드디어 사람들의 말조차 들리지 않게 됩니다. 마지막에는 반야심경을 읊조리며 그의 정신은 완전히 사라져버립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3. 영화화

이 소설은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으로도 책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소설의 내용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김병수라는 살인범의 기억력을 잃어가는 과정과 그의 딸을 지키기 위해 벌이는 마지막 살인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살인자의 복잡한 내면과 고뇌, 인간적인 모습들이 생생하게 그려지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전달합니다. 소설과 영화 모두 매력적인 내용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느낀점

"살인자의 기억법"은 김영하의 장편 소설과 그를 기반으로 제작된 영화로서 깊은 감정과 생각을 자아내게 되었습니다.

소설에서는 알츠하이머에 걸린 살인범 김병수의 마지막 살인 준비와 딸을 지키기 위한 고독한 싸움이 그려집니다. 병수의 내면을 알아가며 그의 삶과 죽음, 시간과 악에 대한 내면적인 갈등과 통찰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잔잔한 일상과 파격적인 사건들이 어우러지면서 인간의 복잡한 모습과 불가피한 운명을 생각케 합니다.

또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을 통해 소설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낸 멋진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김병수의 내면적인 갈등과 고뇌가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되어 감정적으로 깊게 감동하였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살인자로서의 복잡한 내면과 인간적인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는 깊이있는 이야기에 매료되었습니다. 죽음과 삶의 끝자락에서의 싸움과 희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소설과 영화였습니다. 더불어, 작품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대한 이해와 공감도 더할 수 있었습니다.

"살인자의 기억법"은 뛰어난 문학적 표현과 감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여러 가지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남게 된 작품이었습니다. 이 소설과 영화는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과 이해를 더 깊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Image 0 Image 1 Image 2
반응형